『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2』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29회 작성일 25-02-05 16:48본문
『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2』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총서 13
저자 |
|
||
출판 |
동국대학교출판부 |
||
ISBN |
978-89-7801-809-8 |
본 총서는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포스트-사회주의 북한의 사회변동과 혼종성의 역학>의 성과물로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혼종성이라는 접근이 북한연구에서 지니는 방법론적 위상을 다차원적으로 고찰한 1권에 이어 2권에서는 도시와 공간, 정체성의 영역에서 유동하고 있는 경계들을 살펴보고 있다.
제1부 경계와 이동성에서는 "북한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의 모순과 사회의 혼종 "북한의 화폐 모빌리티와 화폐 혼종 정체성의 해석", "포스트 코로나 시기, 신의주의 도시 공간 변화와 북중 관례 전망: 도시지정학의 시각", "북한의 신노동자 일공의 혼종성: 혼종, 변동 그리고 경계", "북한 도시-농촌의 연접 공간과 파생되는 계층들", "김정은 시대 자연 재해재난 관리체계의 혼종 연구를, 또 제2부 장소성과 정체성에서는 "반공간들의 혼종: 헤테로토피아, 평양과 특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금수산태양궁전: 변천과정과 정체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 문학에 형상된 탄광의 장소성", "북한 문학에 형상된 탄관의 잔소성", "평양의 강남은 어디인가?" 북한의 본보기를 소찰했다.